안녕하세요! 😊
틱톡, 릴스, 쇼츠… 요즘 영상 콘텐츠는 점점 더 짧아지고 있죠.
그런데 이젠 숏폼 콘텐츠가 단순히 SNS의 유행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들이 사용자를 붙잡는 핵심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OTT, 음원 앱, 금융 서비스, 쇼핑 플랫폼까지—
이제는 콘텐츠 플랫폼이 아니어도 숏폼을 도입하고 있어요.
오늘은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어떤’ 서비스들이 숏폼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사례와 함께 풀어볼게요. 😊
플랫폼들이 서비스에 숏폼을 도입하는 이유
예전에는 숏폼 하면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 릴스, 틱톡을 떠올렸죠.
그런데 요즘엔 OTT부터 음악 스트리밍, 간편결제 앱까지 숏폼을 도입 중이에요!
그 이유는? 바로 숏폼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죠.
📈 콘텐츠는 짧고,
📱 소비는 빠르고,
🧠 기억에는 강하게 남는 숏폼!
플랫폼 입장에선 사용자 이탈을 막고, 앱 체류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되는 거예요.
이런 흐름에 맞춰, 다양한 플랫폼들이 숏폼으로 사용자 유입–체류–전환까지 노리는 구조를 만들고 있어요.
숏폼 도입 서비스 예시
1) 티빙 ‘쇼츠’ 탭

티빙은 OTT 플랫폼 최초로 앱 내에 ‘쇼츠’ 탭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어요.
예능·드라마 하이라이트, 비하인드, 명장면 클립 등을 짧은 숏폼 영상으로 제공하고 있죠.
이 숏폼들은 단순 홍보가 아니라,
👉 본편 시청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콘텐츠 유도 장치예요.
예를 들어, <환승연애>의 감정 기류를 짧게 보여주는 클립을 보고 나면
“이번 화 정주행해야겠다…” 하고 앱에 머물게 되는 흐름!
쇼츠를 통해 자연스럽게 콘텐츠의 관심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체류시간과 재방문을 끌어올리는 전략입니다.
2) 플로 숏폼 서비스 ‘무드’

FLO는 플레이리스트 내 음악 첫 소절을 영상과 함께 짧게 보고 듣고 넘기는 형태의 숏폼 서비스 ‘무드’를 출시했어요.
이는 음악에 맞춘 짧은 영상을 제공하거나,
아티스트 중심의 콘텐츠를 짧게 소개하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죠.
무드는 단순히 음악을 듣는 데 그치지 않고,
FLO 안에서 ‘보는 즐거움’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와의 접점을 늘리려는 시도예요.
3) 페이코 ‘숏폼적립’ 서비스

결제 앱으로 잘 알려진 페이코도 숏폼 실험을 하고 있어요.
숏폼을 시청하거나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면 이벤트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숏폼 적립 서비스를 런칭했어요.
앞으로의 숏폼 트렌드, 어떻게 될까?
이전까지 숏폼은 "재미" 중심의 콘텐츠였어요.
하지만 이제는 플랫폼들이 숏폼을 이용자 유입 → 체류 → 전환까지 설계하는 ‘전략 콘텐츠’로 활용하고 있어요.
- 숏폼으로 유입 (낚시 클립)
- 숏폼에서 체류 (관심 콘텐츠 소비)
- 롱폼/서비스 기능으로 전환 (구매, 구독, 재생)
즉, 숏폼은 더 이상 부가 콘텐츠가 아니라, 본 콘텐츠 혹은 서비스 사용으로 연결되는 '전략적 터치포인트'인 거예요.
앞으로 더 많은 플랫폼들이 앱 내 숏폼 서비스를 어떤 방식으로 도입할지 함께 지켜봐요!
숏폼 콘텐츠, 이제는 ‘잠깐 보는 영상’이 아니라
사용자와 플랫폼이 연결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예요.
각자 서비스의 성격에 맞는 숏폼 전략을 고민하는 게
앞으로 모든 플랫폼의 숙제가 될 거예요!
다음 트렌드도 쉽게, 재미있게 풀어서 돌아올게요 🙌
궁금한 주제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 집행 문의 컨택포인트: mediasolution@nhn.com
📌광고 상품소개서 & 프로모션 보러가기
'미디어 이슈 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속노화 트렌드가 대세! 요즘 뜨는 MZ세대의 건강 루틴 (0) | 2025.04.25 |
---|---|
요즘 뜨는 스포츠 마케팅, 브랜드들이 주목하는 골프·야구 시즌 (2) | 2025.04.23 |
넷플릭스 '일일 예능제' 도입, 정주행 대신 요일별 예능 편성으로 (0) | 2025.04.11 |
디지털 광고가 변화하고 있다! 리테일 미디어 광고 알아보기 (0) | 2025.04.04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부터 AI 브리핑까지, 네이버 온서비스 AI 전략 (0) | 2025.03.31 |